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Nodejs
- Reset
- git checkout
- Rebase
- Teamwork
- Remote
- Merge
- linux
- Process
- workflow
- fixed
- git branch
- React
- css
- commit
- git
- relative
- root
- Box Model
- Basic
- 소스트리
- Advanced
- Develop
- WEB
- route
- rbenv
- Express
- sourcetree
- html
- crud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visibility (1)
Codesigner

지금까지 박스 모델의 컴포넌트: 콘텐츠, 테두리, 패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 번째 컴포넌트이자 마지막 컴포넌트인 마진(margin)에 대해서 알아보자 Margin I 마진은 박스의 외부의 공간을 말한다. margin 속성으로 이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p { border: 1px solid aquamarine; margin: 20px; } 위 코드는 모든 p 요소의 박스 외부에 20px만큼의 공간을 설정한다. 이는 다른 HTML 요소들이 각 p 요소들과 적어도 20px 만큼 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한 방향에 대해서만 외부 공간을 설정해주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margin-top margin-right margin-bottom margin..
CSS
2019. 4. 25. 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