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 branch
- commit
- css
- relative
- Process
- workflow
- Express
- Reset
- Rebase
- Develop
- Box Model
- Nodejs
- root
- Teamwork
- sourcetree
- git
- git checkout
- html
- Merge
- Advanced
- React
- Remote
- crud
- fixed
- 소스트리
- Basic
- rbenv
- linux
- route
- WEB
- Today
- Total
Codesigner

저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환경 변수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사용자 및 그룹을 관리하고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리눅스에서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가 존재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가장 높은 수준의 접근 권한을 가진다. 루트(root) 혹은 슈퍼 유저(super user) 등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root라는 로그인 이름을 가진다. Ubuntu에서는 루트로 로그인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디폴트 상태의 Ubuntu에서는 루트 로그인이 막혀있다. 물론 sudo passwd root 명령으로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일..

저번 포스팅에서는 파일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고 기타 쉘 기능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프로세스의 두 종류와 이를 관리하는 방법 및 환경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간단하게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자면, 프로세스(process)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즉, 컴퓨터 안에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하며 실행 중이지 않으면 프로그램이라 보면 된다 프로세스 관리 리눅스에서는 현재 터미널 세션에 관련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보여주는 ps 명령을 제공한다. 필자는 VMware Workstation 15 Player의 Ubuntu 환경에서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해 보았다 ps 명령의 결과로 위와 같이 출력된다. PID는 프로세스의 아이디이고, ..

저번 포스팅에서 리눅스에서의 파일 시스템 구조와 기본적인 명령어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파일에 접근하는 권한을 제어하는 방법과 기타 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그전에 먼저 파일의 접근을 제어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한다고 말했다. 즉, 홈 디렉터리 밑에 여러 사용자들의 폴더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폴더에서는 사용자들이 설치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데이터들도 존재한다. 만약, 중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을 다른 사용자가 읽거나 열어서 수정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파일의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지금부터 어떻게 권한을 제어하고 기타 쉘 기능을 이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

WindowsOS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 파일이 어디에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가령,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파일들은 다운로드 폴더에,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면 이는 C드라이브 안의 Program Files폴더 안에 설치될 것이란 걸 알 수 있다. 리눅스(Linux)에서도 이와 유사한 파일 시스템이 존재한다. 리눅스에서는 제일 최상위 디렉터리를 루트(root)라고 하고, 그 밑에 usr, etc, home 등의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진 디렉터리들이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디렉터리들이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이런 파일 시스템 안에서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리눅스 커맨드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파일과 디렉토리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다. 변수 명명을 해당 변수의 기능과 연관되게 짓는 것은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코드의 중복을 피하는 것도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다. 사실, 코드의 중복은 버그를 우리 프로그램으로 초대하는 초대장이다. 부정확한(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코드가 복사-붙여넣기 되는 것은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작업이 요구되고, 또 모든 코드를 수정하지 못 할 우려도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중복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일반적인 프로그래밍에서, 재사용 되는 코드는 재사용가능한 컨테이너(함수 또는 객체)를 따로 만들어서 그 안에서 작성한다. Express 에서는 이를 일련의 미들웨어..

언젠가 블로그에 SW마에스트로 10기 연수생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잘 정리하고자 하는 마음은 있었는데, 그동안 기말고사 공부와 프로젝트 기획으로 인해 여유가 되지 않아서 미루고 미루다가, 그때의 기억이 내 머릿속에서 희미해질 즈음 생각을 정리할 필요를 느껴 이렇게 뒤늦은 후기를 작성하게 되었다. 서류 작성부터 최종 면접까지, 내 기억을 더듬어가며 순서대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추후 SW마에스트로에 지원하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적어보려고 한다 서류 작성 SW마에스트로를 지원할 당시 나는 이렇다 할 스펙이나 엄청나게 많은 프로젝트 경험을 보유한 것은 아니었다. 그저 학부 과정에서 동아리 프로젝트로 몇 가지 만들어보고, 블록체인에 흥미를 느껴 독학하면서 dApp & 웹 개발 ..